절집 오르는 마음 - 근심을 털어내고 걸음을 늦춰 나를 찾아가는 시간
미술과 건축을 탐구하는 예술 칼럼니스트, 최예선이 전하는 곱게 늙은 절집 이야기
인생의 다음 여정을 오를 때면, 나는 이곳으로 간다!
조계산 송광사부터 삼각산 길상사까지⸳⸳⸳
삶이 흔들리고 소란스러울 때 찾는 호젓한 산사 17
오랫동안 근대 시공간과 미술의 다양한 장면들을 탐구해 온 예술 칼럼니스트 최예선 작가가 이번에는 역사, 건축, 고미술, 차⸳⸳⸳ 그 모든 걸 아우르는 공간으로 일컬어지는 곳, 절집으로 향했다. 청량한 숲과 바람소리, 물소리에 감응하고, 오랜 시간 자리를 지키며 유장한 세월을 담아낸 불전과 불화의 장엄함에 감탄하며 숱한 절집을 오르던 작가는 이내 깨닫는다. 절집이 이토록 아름다운 건 비단 불세계의 깊은 미의식과 철학 때문만이 아니라고. 수백, 수천 년의 시간 동안 이곳을 오른 사람들의 간절한 기도와 선한 마음 때문이라고.
이 책에는 시간과 사연을 품고 곱게 늙어가는 절집 열일곱 곳을 넓고 깊게 순례하며 발견한 사려 깊은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주불전에 자리한 불상이 품은 각기 다른 사연들, 부처님 손 모양에 담긴 저마다의 의미, 절집은 스러져도 그 자리에 남아 오래전 역사를 더듬어보게 하는 석탑, 간절한 기도를 감싸 안으며 장엄의 세계로 이끄는 불화⸳⸳⸳ 무엇보다 절집을 더욱 온전하게 만들어준 절집을 오른 사람들의 아름다운 마음.
과거부터 이어져 온 적층의 시간들, 소소한 듯 보이지만 곱씹을수록 가슴 깊이 스미는 예술 칼럼니스트의 절집 이야기를 읽어 내려가다 보면, 어느새 걸음을 늦추고 귀를 기울이는 나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어느새 나의 내면을 응시하는 나를 보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근심을 털어내고 결국은 내 마음을 살피고 헤아리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압도적인 기운을 뿜어내는 숲, 간절한 마음과 기도, 한 잔의 차를 나누는 온기⸳⸳⸳
예술 칼럼니스트가 발견한 ‘이 절집’만의 아름다움
>
아름다움을 몇 번이고 자문자답하게 되는 곳이자
의젓한 아름다움을 보고 나면 세상을 견뎌낼 힘을 갖게 되는 곳.
나는 이런 장소가 세상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가벼워지고 안심이 되었다.
그래서 부석사는 인생의 그다음 여정을 오르기 위해서
반드시 가야 할 곳인 양 마음속에 넣어두었다.
_본문 중에서
누군가를 사무치게 그리워할 때, 걱정과 근심으로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할 때, 나는 누구이고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 직면했을 때⸳⸳⸳ 그럴 때면 찾게 되는 곳이 있는가.
‘산사’는 많은 사람들이 ‘인생의 그다음 여정을 오르기 위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죽을힘을 다해 자신의 길을 찾았던 일엽스님이 머물렀던 수덕사, 소설가 신경숙이 책에서 “능선 뒤의 능선 또 능선 뒤의 능선이 펼쳐지는 그 의젓한 아름다움을 보고 오면 한 계절은 사람들 속에서 시달릴 힘이 생긴다.”고 말한 부석사, 무소유의 삶을 실천했던 법정스님의 자취가 남아 있는 송광사와 길상사, 효가 평생의 화두였던 조선임금 정조가 효치와 효행을 불교 세계관으로 구현하고자 지은 절 용주사⸳⸳⸳. 절집은 불자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배우고 따르며 기도하는 공간이자, 어떠한 상황에서도 선한 마음을 잃지 않으려는 의지를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가 켜켜이 쌓인 곳이다. 작가는 이러한 마음들이 절집을 더욱 온전하고 숭고한 공간으로 만들었다고 말한다.
이 책은 단지 불교문화유산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한 사찰기행이 아니다. 절집이 간직한 역사적 배경 뒤에 숨은 이야기, 즉 절집을 세우고 꾸미고 지켜온 사람들의 마음을 곰곰 헤아리며 결국은 나 자신을 응시하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를 들여다보게 하는 책이다.
삶이 흔들리고 소란한 당신에게, 인생의 다음 여정을 오를 준비를 하는 당신에게 ‘이 책’이, 그리고 ‘이곳’이 다정한 도반이 되어줄 것이다.
무엇보다 이 책을 읽다 보면 ‘명산에 자리한 오래된 종교 공간 정도로 뭉뚱그려 생각해 온 절집’이 저마다의 사연과 특색을 지닌 ‘그 절집만의 아름다움을 품고 있는 곳’으로 다가오게 된다.
오래전 해인사로 이운된 대장경판 이야기와 해인사만의 공간 미학, 송광사의 후박나무를 통해 알게 된 드라마 같은 식물의 세계, 김홍도가 그린 것으로 알려진 용주사 「삼세불회도」의 수수께끼, 떠 있는 돌이 주인인 절 부석사에 숨어있는 이야기, 다산 정약용과 한 승려가 차로 교유한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백련사⸳⸳⸳. 저마다의 사연과 아름다움을 간직한 절집 이야기를 전해주는 저자의 사려 깊은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마치 절집 한가운데에 서있는 양 감정이 일어나고 고요해지고 깊어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예술 칼럼니스트인 저자가 읽어주는 절집의 건축물과 불화, 불상은 각 시대마다 미의 기준과 불교가 불자들에게 다가가는 방식이 달랐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어 읽는 재미를 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