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만 아는 농담 - 보라보라섬에서 건져 올린 행복의 조각들
라이프스타일 잡지 <AROUND> 칼럼니스트 김태연이
보라보라섬에서 배운 단순하고 조화롭게 사는 법
“우리는 언제쯤 서로를 설득하는 수고 없이,
주류에서 벗어난다는 불안감 없이,
자신만의 이유로 행복해지는 어른이 될 수 있을까.”
나는 우리의 시시함이 아주 감사하다
당연한 매일 끝에 약간의 고요함이 남아 있다면, 그걸로 충분하다
『우리만 아는 농담』은 저자 김태연이 남태평양의 외딴섬 보라보라에서 9년간 생활하며 배운, 단순하고 조화로운 삶의 태도에 대한 에세이다. 인터넷 검색창에 ‘보라보라섬’을 검색하면 “이름만 들어도 설레는”, “남태평양의 지상낙원”, “꿈의 여행지” “럭셔리 신혼여행”과 같은 표현이 줄지어 등장한다.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소시에테 제도에 있는 조그마한 섬 보라보라는 ‘태평양의 진주’라고 불리며 휴양지로 익히 알려진 곳이다. 김태연 작가는 외딴 바다 마을에서의 간소하고 잔잔한 삶을 꿈꾸며 유유자적, 자급자족, 그러니까 ‘슬로우 앤드 미니멀 라이프’에 대한 로망을 안고 집을 떠나 섬에서 10여년을 살았다. 마음이 지칠 때면 바다로 나가 물 위에 누워 휴식을 취하고, 서울에서는 꿈도 꾸지 못할 마당 있는 집에 살며 망고나무를 키우고, 패들보드를 타고 친구의 바비큐 파티에 놀러 가고, 뒷마당에서 민트를 뜯어다 모히토를 만들어 마시고, 뒷마당에 나가 은하수 아래에서 별빛에 저녁을 먹고, 집에서 1분만 걸어 나가면 바다가 있는 그런 삶이, 보라보라에 있었다.
그렇지만 김태연 작가는 곧 스스로가 좋아하는 삶이 아니라 남들 눈에 좋아 보이는 삶을 추구해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심심찮게 찾아오는 정전에 반사적으로 냉동실의 음식을 먹어 치우고, 모기떼의 습격에 비행기로 응급실에 후송되고, 아무리 노력해도 모국어가 아닌 언어 앞에서 의사소통의 벽에 끊임없이 부딪히고, 세상의 모든 도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섬답게 마트에서도 물건이 자주 동이 나며, 단조로운 생활과 고립감에 지친 친구들을 줄줄이 떠나보내고, 직항은커녕 경유 비행편도 며칠에 하나씩 있는 곳에서의 삶은 사랑하는 누군가의 죽음 앞에서도 그저 슬퍼하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는 게 현실이었다.
“내일의 불확실한 세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누구도 모른다. 지금보다 더 나빠질 수도 있다. 어제오늘과 똑같이 지루하기 짝이 없는 하루가 계속될 수도 있고, 반대로 모든 것이 무너질 수도 있다. 그때 비로소 우리는 그 지루함이 축복이었다는 걸 알게 되겠지만, 뭐 그렇다고 별 수 있나. 무너진 자리에 다시 새로운 지루함을 만들 수밖에 없다.”_p260
생각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는 말이 있는 한편, 마음먹은 대로 굴러가주지 않는 게 인생이기도 하다. 이러한 삶의 불확실성 앞에서 김태연 작가는 ‘별 수 있나’ 하는 담담하고 단순한, 그리고 단단한 마음으로 그 아이러니를 웃어넘긴다. ‘내일의 일은 모르겠다’라고 체념하듯 내뱉으며 오늘의 행복을 꽉 붙든다.
오늘이 언젠가 우리만 아는 농담이 될 날을 기다리며
섬은 꿈꿔왔던 것만큼 완벽하고 환상적인 곳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김태연 작가는 낯선 세계가 숨겨왔던 표정을 발견해나가고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과 시시콜콜한 오늘을 나누며 행복의 조각을 맞춰간다. 그렇게 우리를 괴롭히는 사소한 일들에 다시 사소한 위로로 맞서며 살아간 10여년의 특별하고도 사소한 시간의 기록들이 모여 『우리만 아는 농담』이 되었다. ‘언제든지 심심하게 살아갈 수 있는 단호함’과 오랜만에 느껴보는 ‘선명한 행복’을 깨달아가는 그의 따뜻한 문장들은, 잔잔하고 따뜻하여 부드럽게 느껴지지만 그 안에 담긴 어떤 단단함이 독자에게 분명한 위로와 용기를 안겨준다.
“이제는 지구를 구하는 것처럼 반짝거리는 일이 아니어도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잠깐 누군가의 빈자리를 채우는 일이거나, 그저 지루함을 버텨내는 일이거나, 사람들의 눈길이 닿지 않는 일이어도 괜찮다. 상대에 따라 전부이거나 혹은 아무것도 아닌 일들. 운이 좋다면 사랑하는 사람들을 지켜낼 수도 있는 일들. 일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우리의 쓸모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작은 일도, 무의미한 일도 그래서 모두 의미가 있다.” _p57
세계 제일의 영화감독이 되어 칭찬받고 싶지만 영화가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것 같다고 고백하는 사람. 아이를 갖고 싶다는 100퍼센트의 확신을 기다리다가도, 계속해서 달라지는 마음 하나하나를 애틋하게 여기는 사람. 헤어짐에 대한 두려움 앞에서 ‘누구나 언젠가는 헤어진다’는 비관으로 멋지게 추락할 줄 아는 사람. 열아홉 시간의 시차만큼이나 멀리 떠난 곳에서 암막 커튼 치고 넷플릭스 보는 일상을 자신 있게 소개하는 이 사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을 수 없다. 지나치게 솔직한 이야기에 웃음이 나다가도 어느새 코가 찡해져 눈물을 글썽이게 되고, 이내 가슴 따뜻한 위로와 단단한 용기를 듬뿍 얻어 책장을 덮게 될 것이다. 작가는 말한다. “모두를 실망시키더라도, 나는 내 몫의 행복에 용기를 들이부어줄 준비가 되어 있다. 다시 심심한 세계로 돌아갈 날을 손꼽아 기다린다.”